|
 |
|
 |
|
 |
|
 |
프로젝트 매니지먼트의 기초와 프로젝트 리더의 역할 이해 |
|
 |
요구되는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프로젝트 목표 개발 및 개념화 |
|
 |
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자원과 필수 요구사항 파악 |
|
 |
프로젝트 활동을 관리 및 기록을 위한 도구와 기술 습득 |
|
 |
프로젝트 활동의 진척 사항을 모니터하고 계측 및 관리 |
|
 |
만약의 상황에 대비한 필수 요소 파악 및 이해 |
|
|
|
 |
|
 |
Risk & Issue 관리등을 프로젝트 프로세스 중심교육하여 현업 적용성 극대화 |
|
 |
핵심 기법 실습 위주 교육으로 Mece, Logic Tree, 특성요인도 등 작성 |
|
 |
커뮤니케이션 등의 Human 스킬 교육과 융합하여 실행 역량을 극대화 할 수 있음 |
|
 |
현업의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교육에 전개, 현업 적용 극대화 |
|
|
|
|
 |
 |
대상 : 프로젝트 관리 스킬이 필요한 프로젝트 리더 |
|
 |
시간 : 16H |
|
 |
인원 : 30명 이하 |
|
|
|
|
|
학습시간 |
|
|
|
- 프로젝트의 정의와 일반적 속성
-
프로젝트 관리 필요성
-
프로젝트 성공 핵심3요소 (time, Quality, Cost)
-
프로젝트 성공 요인 |
|
|
1.0H |
|
|
|
- 프로젝트 등록서 작성
-
BIZ Issue 의 전략적 상황 분석
-
파레토 분석 : 핵심 이슈사항의 도출
-
KPI선정(Key Performance Indicator)
-
전략적 목표 설정 / 추진조직 체계구성 |
|
|
4.0H |
|
|
|
- 측정 시스템 구축, 성과 산출 기준 정립
-
갭 분석 / 개선방향 구체화 |
|
|
2.0H |
|
|
|
- 잠정인자 도출(Method, Measure, Environment)
-
주인자 도출 |
|
|
4.0H |
|
|
|
- 해결안 개발
-
잠재문제 검토
-
실행팀 구성 / 실행 계획 수립 |
|
|
3.0H |
|
|
|
- 관리계획 수립 : 관리도의 작성과 관리
-
Process 표준화
-
완료보고 / 성과공유 |
|
|
2.0H |
|
|
|